미국 터프츠대의 마이클 레빈 교수의 플라나리아 연구에 따르면 플라나리아는 편형동물로서 놀라운 재생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, 몸을 상부/하부로 자르면 각각 상부/하부에서 새로운 머리와 꼬리가 자라나 두 개의 각각 독립된 개체가 된다. 레빈 교수는 연구에서 퓌레 형태의 간이 든 접시를 가운데 배치하여 플라나리아에게 먹이의 위치를 기억하도록 학습을 시켰다. 플라나리아는 다소 복잡한 지형에서도 능숙하게 이동하여 먹이에 도달했다. 그 후, 레빈 연구팀은 학습된 플라나리아를 상하로 절단하고, 재생된 개체를 관찰했다. 그 결과, 각각 재생된 플라나리아 역시 먹이의 위치를 잘 기억하고 찾아냈다.레빈 교수는 "플라나리아는 뇌를 완전히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뇌를 잃기 전의 기억과 학습을 잘 유지하고 있었다"고 설명했다. 이는..